크래프트 매거진 서핑 리뷰 / Craft Magazine Surfing Issue

2015. 8. 4.

장인이라 하면 아주 먼 옛날이 떠오르거나 일본, 이탈리아 등 다른 나라가 생각나는 것은 왜일까요. 장인은 산업혁명과 함께 -수공예로 물건을 제작하고 그것에 값을 매기는 일부 럭셔리 브랜드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사라졌습니다. 하지만 장인'정신'은 모두의 것입니다. 철저한 자기 검열로 완벽을 추구하는 태도는 각자의 마음가짐에 달렸기 때문이죠. 장인과 한국 문화의 연결고리를 찾기 힘든 것은 급격한 산업화와 그것이 가져다준 풍요로움으로 인해, 직접 손으로 만드는 것의 가치를 잊었을 뿐더러 애써 찾으려는 노력마저도 부족했기 때문 아닐까요. 장인'정신' 또한 마찬가지- 개개인의 창의력과 생각을 존중하는 것이 아니라 최대의 효율을 위해 기계의 부품처럼 인력을 소모했던 범국가적 문화가 자아실현을 위한 개인의 자발적인 노력-장인정신-을 가로막았던 것이라 생각합니다.


크래프트 매거진 커버 이미지 출처 www.29cm.co.kr


국내에 '수제'가 유행하는가 싶더니 유행을 넘어 하나의 문화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대량생산 대량소비를 벗어나 맞춤 가구, 수제화, 수제맥주, 집밥 등 의식주 전반으로 '손'으로 만드는 것이 문화 저변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시의적절하게 등장한 매거진인(이름부터 명확한) 크래프트 Craft는 장인정신을 키워드로 매호 하나의 주제를 다룹니다. 매거진B가 하나의 브랜드를 바탕으로 문화-라이프스타일 전반을 다룬다면 이와는 거꾸로 하나의 문화를 바탕으로 다양한 사람, 브랜드를 다루는 것이죠. 앞서 11 편을 발행으로 휴간한 페이퍼B(매 호 하나의 비즈니스 영역을 국내 3개의 브랜드를 중심으로 다루었습니다.)와 유사하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좋았던 점은 하나의 매체와 대면한다는 느낌보다 각각의 에디터, 포토그래퍼와 대면한다는 인간적인 느낌이 강하다는 점입니다. 정해진 형식이 있어서 에디터가 그것에 맞춰나가기보다 전반적으로 공통된 흐름만 견지하며 각자가 원하는 글의 형태를 만들어가는 모습입니다. 똑같이 어떤 사람의 인터뷰를 담더라도 누구는 질문-답 형식을, 누구는 자신의 관점과 생각 위주로, 또 다른 누구는 이 둘을 섞었습니다. 이 모습이 통일성이 없다고 느껴지지 않았고, 오히려 몰입도가 좋았습니다. 에디터의 입장에서 생각해 본다면 자유도가 높아서 스스로 글에 대한 만족도와 애착이 커질 것이며, 이는 자연스레 콘텐츠의 질이 높아지는 긍정적 선순환을 이룰 것입니다.


매번 주제가 다른 만큼 안정적인 광고의 수익성을 보장 받을 수 없다면, 역시 콘텐츠로 승부해서 독자에게 어필해야 할 것입니다. 이정도의 퀄리티라면 충분히 가능한 이야기입니다. 앞으로도 창간호처럼 전문적인 분야라 할지라도 대중이 흥미로워하고 쉽게 읽을 수 있는, 대중 지향적인 내용이면 좋겠습니다. 콜라보레이션, 프로모션과 같이 다양한 시도의 광고를 기대해 봐도 좋을 듯합니다. 좋았던 만큼 오래가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