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수경 소설집 모두가 부서진 / 부서진 조각을 붙이는 일만 남은 것이 위안이 되는 이야기들

2016. 12. 5.

단편 소설집을 읽으면, 지금 읽는 이야기가 얼마나 남았는지 쪽수를 확인하곤 한다. 이야기의 끝에 다다를수록 마음이 쓰인다. '어떻게 이야기를 끝내려는 거지?' 한 문단, 한 문장, 한 단어. 호흡이 가빠지더니, 이내 끝난다. 그리고 마음이 쓰였던 만큼, 호흡이 가빴던 만큼 여운이 남는다.


조수경의 소설집 [모두가 부서진]은 유난히 호흡이 가빴다. 이야기는 서서히 속력을 높이며 나락으로 떨어진 채 희망도 없이 끝났다. 매 마지막 순간 참담하고 분한 심정이었다. 마치 우울함의 바닥을 짚고 다시 수면으로 돌아오지 못한채, 심해에 쪼그려 앉아 아가미로 가쁜 호흡을 이어가는 작은 생명체가된 기분이었다.


조수경 소설집 [모두가 부서진] ⓓ이경진


잠들기 전 이야기 하나씩 읽었다. [할로윈─런런런]을 읽은 네 번째 날에는 주인공 미래처럼 악몽에 시달렸다. 왜 매일 밤 내가 이 이야기를 붙들고 있어야 하지, 라는 생각에 책을 덮기도 했다(결국은 다시 집어 들었지만). [유리]와 [지느러미]는 푹 빠져 읽은 반면, [사슬]과 [오아시스]는 결국 책장을 끝까지 넘기지 못했다.


소설이 꼭 그래야 하는 건 아니지만, 나는 끝내 희망과 긍정을 이야기하는 소설이 좋다. [작가의 말]을 읽으니 작가가 어떤 심정으로 이야기를 썼는지 그제야 조금이나마 공감할 수 있었다. 모두가 부서졌다. 더는 내려갈 곳도 없이 바닥에 다다랐다. 이제 부서진 조각을 이어붙이고 수면을 향해 오를 일밖에 없는 듯하다. 오직 그것만이 위안이 된 소설.


공항에 있는 사람들은 떠날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으로 나뉘었다. 나는 떠날 사람이 누구인지 골라낼 수 있었다. 바퀴가 달린 가방이나 유난스러운 옷차림 때문만은 아니었다. 떠날 사람은, 뭐랄까, 떠날 사람의 얼굴을 하고 있었다.


셔터를 누르는 순간, 조리개의 움직임을 따라서 하나의 세계가 닫히고 다시 새로운 세계가 열렸다. 그 장면이 그토록 오랜 세월 동안 내 안에 박혀 있을 거라고는, 그때의 나는 상상조차 할 수 없었다.


오래 참았던 숨을 토해내듯 나는 너의 이름을 불렀다. 하지만 그 다음 말을 잇지 못하고 바짝 마른 입술만 깨물었다. 밖으로 나오지 못한 말을 내 안에 영원히 가둬두려는 것처럼 너는 내 말을 가로챘다.


엄마를 만나고 나면 우주의 비밀을 밝혀내듯이 어둡고 뻥 뚫린 부분들을 채워갈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러고 나면 그다음에 할 일이라든가, 하고 싶은 일이라든가 하는 것들을 저절로 알게 될 것만 같았다.


직사각형의 유리창을 보자 커다란 어항안에 갖혀 있는 기분이 들었다. 여자는 어항을 들고 베란다로 나갔다.